머리 부상 뒤 계산력·기억력이 떨어졌는데, 이게 기질적 뇌증후군일까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본문
정경일 변호사의 교통사고 로펌 | |
머리 부상 뒤 계산력·기억력이 떨어졌는데, 이게 기질적 뇌증후군일까요? 자주하는 질문과 답 | |
https://ruddlfwjd1.cafe24.com/bbs/board.php?bo_table=page5_2&wr_id=1480 |
[질문]
“머리 부상 뒤 계산력·기억력이 떨어졌는데, 이게 기질적 뇌증후군일까요?”
[답변]
교통사고 등으로 강한 외상을 입은 뒤부터 학습 능력이나 집중력이 예전과 달라진다면, 단순한 스트레스 문제만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뇌의 물리적 손상 때문에 생기는 기질적 뇌증후군(Organic Brain Syndrome)은 겉으로는 상처가 아물어도 뇌기능이 제대로 회복되지 않으면서, 인지능력 저하나 성격 변화 등 심각한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예컨대 어휘를 예전처럼 막힘 없이 떠올리지 못하거나, 간단한 계산에도 시간이 오래 걸리는 식으로 ‘뇌가 어딘가 좀 굼떠졌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심지어 충동 조절이 어려워지고, 가족·지인에게 이유 없이 화를 내거나 예민해지는 변화도 나타날 수 있지요. 이럴 땐 “상처가 다 나았으니 괜찮겠지”라고 방치하다 증상이 오래가거나 악화될 수 있으니, 신경과 혹은 재활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서두르는 것이 좋습니다.
이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일반 심리검사만으론 부족할 때가 많아, 특별한 신경인지기능검사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때때로 단순 검진에서는 ‘정상’으로 나오지만 정밀 검사에서 미세 결손이 확인되는 사례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고 직후 한두 달은 현저한 증상이 없어도, 시간이 흐르면서 집중력 문제나 성격 변화가 두드러지는 경우도 있으니 방심하기 이릅니다.
나아가 머리 부상의 최종 후유증을 판단하려면, 대체로 사고 후 1년 반 정도(최소 18개월)는 두고 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 이전에 감정을 받거나 배상 합의를 시도하면, “아직 뇌가 충분히 회복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로 재감정 문제가 생길 여지가 큽니다. 결론적으로 머리를 다친 뒤 비정상적으로 예민해졌다거나, 기억력·판단력이 뚜렷이 약해졌다고 느껴진다면, 가족이나 주변인들의 관찰과 전문의 진단을 통해 기질적 뇌증후군 여부를 반드시 점검해보는 것이 안전한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