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송일균 / 김진환
손해배상전문변호사
대표 정경일 / 김진환
손해사정사
총괄국장 김기준
상담문의
02-521-8103
자주하는 질문과 답

맥브라이드표 말고, ‘A.M.A.표’도 있다는데, 이건 뭔가요? 더 정확한가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교통사고 로펌 댓글 0건

본문

Q: “맥브라이드표 말고, ‘A.M.A.표’도 있다는데, 이건 뭔가요? 더 정확한가요?”

(핵심 요약: A.M.A.표의 개념과 특징, 맥브라이드표와의 차별점)


A: 미국의사협회(American Medical Association)에서 만든 이른바 “A.M.A.표”는 영구적인 신체장애를 평가하기 위해 여러 전문의가 합동 연구해 만든 기준이에요. 맥브라이드표와 달리 정형외과 외의 다양한 분야(예: 신경, 정신, 척추, 상지·하지 등)도 세밀하게 다루고, 최신 의학 기술을 꾸준히 반영하기 때문에, 의학계에선 훨씬 정교하다는 평을 받습니다.


1.미국의사협회 주도

해당 표는 여러 진료과 전문의들이 오랜 기간 협업해 만들어, 1984년 2판, 1988년 3판, 1993년 4판, 2000년대 이후 5~6판으로 개정되며 최신 의학수준을 반영하고 있어요.

 

2.영구 장애만 다룬다

이름 자체가 ‘영구적 신체장애(Permanent Impairment)의 평가 지침’. 그러므로 완치 가능성이 있는 일시적 부상이나 질환은 여기 해당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회복 불가능한 후유장해에 집중해요.

 

3.직업·연령 반영은 하지 않는다

A.M.A.표는 순수 의학적 신체기능장애율만 나타내며, 해당 장애가 노동능력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는 별도의 법적·사회적 판단을 요합니다.

일단 이 표에서 산출된 장애율을 기초로, 법원이나 배상기관이 “직업·나이·경력”을 고려해 최종 노동능력상실률을 정하게 되는 셈이죠.

 

결국, A.M.A.표는 맥브라이드표보다 폭넓은 의학 분야를 세밀히 반영해, 현대 의학과 호환성이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법률상 노동능력 판단은 여전히 판사 권한이므로, 이 표에 나온 수치가 절대적 기준이 되진 않는다는 점도 알아두셔야 해요.